[DDR PHY 2.1] 3.1 Control Interface

2023. 9. 27. 10:38· DDR PHY/DDR PHY 2.1
목차
  1. 3.1 Control Interface
  2. Control Signals
  3. Control Timing Parameter
반응형

3.1 Control Interface

DFI 스펙은 DRAM 장치로 메모리 address, command, control 신호를 전달하는 데 필요한 신호를 정의하며, 이 신호들은 DFI와 DRAM 사이의 실제 지연 시간(tctrl_delay)을 고려하여 타이밍을 유지하면서 DRAM으로 전달됩니다.

 

DFI 스펙은 메모리 기술에 따라 필요한 특정 Control 신호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dfi_reset_n 신호는 DDR3, dfi_odt 신호는 DDR2와 DDR3, 그리고 dfi_rddata_dnv 신호는 LPDDR2 메모리 시스템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frequency ratio systems에서는 DFI PHY 클럭의 각 phase(N)에 대한 신호 값을 정의하는 '_pN' 접미사가 붙은 phase별 신호로 control 인터페이스의 신호가 복제되며, 메모리 컨트롤러(MC)는 PHY와 통신하기 위해 어느 단계에서든 명령을 내릴 수 있습니다.

 

LPDDR2 메모리 시스템에서는 CA 버스가 dfi_address 버스에 매핑되며, 이때 dfi_address 버스는 최소 20비트를 가져야 하고, PHY는 상승 및 하강 CA 단계를 선택하여 LPDDR2 메모리에 10비트의 더블 데이터 속도 출력을 보낼 책임이 있습니다.

Control Signals

Signal From Width Default Description
dfi_address 
or dfi_address_pN 
MC DFI address Width .a DRAM에 전달되는 address 정보를 정의

dfi_address 신호의 비트 순서를 그대로 유지

frequency ratio system에서 address 신호가 각 PHY의 단계(N)에 대한 address를 정의(dfi_address_pN)

LPDDR2에서 dfi_address는 특정 CA버스와 연결
dfi_bank 
or dfi_bank_pN 
MC DFI Bank Width .b DRAM에 전달되는 bank 정보를 정의

dfi_bank 신호의 비트 순서를 그대로 유지

frequency ratio system에서 bank 신호가 각 PHY의 단계(N)에 대한 bank를 정의(dfi_bank_pN)

DDR1, LPDDR1, DDR2, DDR3에서만 적용되며, LPDDR2에서는 IDLE 상태로 유지
dfi_cas_n 
or dfi_cas_n_pN 
MC DFI Control Width 0x1 DRAM에 전달되는 Column Address Stribe(CAS) 정보를 정의

frequency ratio system에서 CAS 신호가 각 PHY의 단계(N)에 대한 Column를 정의(dfi_cas_n_pN)

DDR1, LPDDR1, DDR2, DDR3에서만 적용되며, LPDDR2에서는 IDLE 상태로 유지
dfi_cke
or dfi_cke_pN 
MC DFI Chip Select Width 0x0
0x1
Clock Enable(CKE) 정보를 정의

frequency ratio system : 여러 phase의 clock이 있는 시스템에서는 각 phase마다 별도의 clock enable 관리

MC는 모든 clock phase에서 정보를 제어하고, PHY는 어떤 phase에서든 명령을 수락
dfi_cs_n
or dfi_cs_n_pN 
MC DFI Chip Select Width 0x1 Chip select 정보를 정의

frequency ratio system : 여러 phase의 clock이 있는 시스템에서는 각 phase마다 별도의 CS 정보 관리
dfi_odt
or dfi_odt_pN 
MC DFI Chip Select Width 0x0 On-Die Termination(ODT) 정보를 정의

frequency ratio system : 여러 phase의 clock이 있는 시스템에서는 각 phase마다 별도의 ODT 정보 관리

MC는 모든 clock phase에서 정보를 제어하고, PHY는 어떤 phase에서든 명령을 수락

DDR2와 DDR3 메모리 시스템에서만 필요
dfi_ras 
or dfi_ras_n_pN 
MC DFI Control Width 0x1 Row Address Strobe 정보를 정의

frequency ratio system : 여러 phase의 clock이 있는 시스템에서는 각 phase마다 별도의 RAS 정보 관리

DDR1, LPDDR1, DDR2, DDR3 시스템에만 적용
LPDDR2에서는 IDLE 상태로 유지
dfi_reset_n 
or dfi_reset_n_pN 
MC DFI Chip Select Width 0x0 RESET 정보를 정의

DDR3 시스템에서만 필요

frequency ratio system : 여러 phase의 clock이 있는 시스템에서는 각 phase마다 별도의 RESET 정보 관리
dfi_we_n 
or dfi_we_n_pN 
MC DFI Control Width 0x1 Write Enable(WE_n) 정보를 정의

frequency ratio system : 여러 phase의 clock이 있는 시스템에서는 각 phase마다 별도의 WE_n 정보 관리

DDR1, LPDDR1, DDR2, DDR3에서만 이 기능이 적용되며, LPDDR2에서는 IDLE 상태로 유지

a. 이 신호는 initialization 중에는 의미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 신호에 대해 기본값을 유지할 필요가 없습니다. LPDDR2 메모리 시스템의 경우 dfi_init_complete가 활성화될 때까지 dfi_address 신호는 NOP로 구동되어야 합니다.

b. 이 신호는 initialization 중에는 의미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 신호에 대해 기본값을 유지할 필요가 없습니다.

c. 대부분의 메모리 장치는 리셋 시 CKE를 LOW 정의합니다. 그러나 모바일 DDR과 같은 일부 장치는 리셋 시 CKE를 HIGH 정의합니다. 기본값은 메모리 정의를 반영해야 합니다.

Control Timing Parameter

Parameter Defined by Min Max Unit Description
tctrl_delay PHY 0 .a DFI
clock
cycles
DFI 제어 신호가 활성화 되거나 비활성화 된 후에 PHY-DRAM 인터페이스에서 제어 신호가 언제 반영되는지를 DFI 클럭 주기로 지정

DFI 클럭과 메모리 클럭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면, 이 값은 다음 정수로 반올림

a. DFI는 최대값을 지정하지 않습니다. 지원되는 값의 범위는 구현에 따라 다릅니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1. 3.1 Control Interface
  2. Control Signals
  3. Control Timing Parameter
'DDR PHY/DDR PHY 2.1'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DR PHY 2.1] 3.3 Read Data Interface
  • [DDR PHY 2.1] 3.2 Write Data Interface
  • [DDR PHY 2.1] 3.0 Interface Signal Groups
  • [DDR PHY 2.1] 2. Architecture
kyw6416
kyw6416
kyw6416
kyw6416
kyw6416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03)
    • PCB 설계 (16)
    • C언어 (6)
    • FPGA (15)
    • 하드웨어_ETC (0)
    • 임베디드_ETC (2)
      • 임베디드_통신 (1)
    • Qt Creator (4)
    • Tool (1)
      • Verdi (1)
    • Verilog (9)
      • i2s (5)
      • hdlbits (0)
    • DRAM (15)
      • DDR2 SDRAM (8)
      • DDR3 SDRAM (0)
      • DDR5 SDRAM (3)
    • DDR PHY (6)
      • DDR PHY 2.1 (6)
    • Makefile (10)
    • Vim (17)
    • 노션 (2)
    • SoC 설계 (0)
반응형
kyw6416
[DDR PHY 2.1] 3.1 Control Interface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