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베디드_ETC

직렬(Serial)통신 이란? 직렬 통신은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한번에 하나의 비트만을 전송합니다. 양단간 통신 거리가 먼 경우에도 사용하기 용이 USB, RS232 등이 사용하는 방식 송신과 수신 라인이 다름. 두 장치가 동시에 데이터 전송 가능 병렬(Parallel)통신 이란? 여러 개의 병렬 위로 동시에 여러 개의 데이터 신호를 보내는 방식 양단간 통신 거리가 먼 경우에는 사용하기 어려움 한번에 여러 비트가 전송되는 경우 각 비트는 하나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전송에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32비트 통신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32개의 와이어가 필요합니다. 32개의 와이어를 정확히 동일한 길이로 만드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더 높은 클럭 속도에서 더 짧은 와이어를 통해 전송 된 데이터는 더 긴..
폴링(Polling) 이란? CPU가 작업을 진행하다 입출력 명령을 만나면 직접 입출력 장치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식이다. 특정 주기마다 스레드를 돌면서 시그널이 들어왔는지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시그널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while문에 250ms flag(특정 동작을 수행할지 말지 결정하는 변수(1bit) )가 set듸엇을 때 if문을 통해 특정 시그널이 set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입니다. 이렇게 주기마다 계속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리소스를 많이 먹고 반응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CPU가 직접 일을 하기 때문에 입출력을 하는 동안 다른 일을 못한다. 따라서 입출력이 처리되는 동안 기다려야 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며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특정 주..
kyw6416
'임베디드_ETC' 카테고리의 글 목록